전체 글144 소아 뇌성마비의 신경운동학적 분류와 경직성 뇌성마비(Spastic type)의 특징과 분류 소아 뇌성마비의 신경운동학적 분류안녕하세요~ 이제 50일을 넘어서 60일을 바라보고 있는 주호의 아빠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미국뇌성마비학회에서 소아 뇌성마비를 분류하는 카테고리를 알아보았습니다. 장애정도와 침범부위에 따른 분류, 신경운동학적 분류인 3가지 항목으로 나눠서 볼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신경운동학적 분류를 어떻게 나뉘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소아 뇌성마비의 신경운동학적 분류는 6가지 타입으로 나누어집니다. 경직형 뇌성마비(Spastic type), 느린 비틀림 운동형(Athetoid type), 운동실조형(Ataxic type), 경축형(rigid type), 이완형(fiaccid type), 혼합형(mixed type)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각각의 특성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경직.. 2024. 11. 8. 소아 뇌성마비 원인과 증상 분류 소아 뇌성마비안녕하세요. 이제 52일 차 신생아 주호의 아빠입니다. 저번까지 신생아부터 14개월이 되는 아동에 이르기까지 발달되는 과정들을 공부해 보았습니다. 근골격계 물리치료, 즉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 쪽의 공부만 해오던 저로써는 신경계 쪽 소아물리치료라는 분야로 시야를 넓히는 좋은 학문을 익히는 시간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정상발달하지 못하고 장애가 생기는 아동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같은 부모로서 내 아이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다면 정말 마음이 아플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소아의 장애가 어떻게 생기고 일어나게 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대표적으로 소아 뇌성마비가 있습니다. 소아 뇌성마비는 중추신경계통 손상의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 일반적으로 뇌성마비는 미성숙한 뇌가 성장하지 않.. 2024. 11. 7. 신생아 낯가리는 시기와 혼자서 걸음마 하는 시기 신생아 낯가리는 시기 안녕하세요~ 오늘로 드디어 주호가 50일이 되었습니다. 50일에 가까워지니 밤에 잠자는 시간이 확실히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평균적으로 4시간에서 6시간 사이로 자는 것 같습니다. 어젯밤에는 거의 8시간을 잤었습니다. 2시간마다 깨서 모유를 먹이고 재우다가 이제 조금 잠을 자기 시작하니까 저희도 피곤함이 조금은 덜한 것 같습니다. 이제 아기의 정상발달단계도 12개월을 향해서 가는데 이제는 이미 했던 동작들이 점점 더 자연스러워 가는 과정들을 거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생후 11개월이 된 아기는 네발기기 자세로 물건을 잡을 수 있고, 양팔을 지지하면서 걸음을 걷기도 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또한 손과 발이 눈에 띄게 발달해서 의자 위로 올라가고 내려오는 동작들을 하며 블록을 쌓는 동작.. 2024. 11. 5. 생후 8개월 ~ 10개월 아기 발달 까치발 서기 시작하고 걸음마 하는 시기 8개월 아기 까치발 서기 시작안녕하세요~ 이제 생후 50일을 앞두고 있는 49일 차 주호의 아빠입니다. 오늘은 걸음마를 시작하는 초기시기인 생후 8개월의 아기의 발달로 먼저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시기의 아기는 골반의 움직임이 많이 발달해서 골반과 몸통을 안정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혼자 앉는 자세도 할 수 있게 됩니다. 앉아서 관심이 가는 물체를 잡기도 하고 관심이 없어지거나 싫으면 버리는 동작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골반과 동시에 손과 발의 근육들도 발달하여 앉아 있다가 네발로 기기도 하고 물체나 지지대를 잡고 서기 시작하기를 반복하다가 혼자서 서고 걸음마를 하게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동작들을 자유롭게 하려고 시도하는 만큼.. 2024. 11. 4.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6 다음